[그거 알아요?] 별의 수
2025. 4. 15. 12:57ㆍ천문/기타
# 별의 수
- 은하당 별의 수: 약 2천억 개 (2 × 1011)
- 관측 가능한 은하의 수: 약 2조 개 (2 × 1012)
- 우주에 존재하는 별의 수: 약 4000해 개 (4 × 1023)
# 별의 수 비유
- 모래알
- 함덕해수욕장 모래 입자 크기 = 지름 0.25 mm = 반지름 0.000125 m
- 1개의 모래알 부피(구체로 가정) V = 4/3πr3 = 4/3π(0.000125)3 ≈ 8.18 × 10-12 m3
- 별 개수의 모래알 총 부피(Vtotal)= (4 × 1023) × (8.18 × 10-12) = 3.27×1012 m3
- 제주도 면적(AJeju) ≈ 1,846 km2 = 1.846×109 m2
- 모래 높이(h) = Vtotal / AJeju = (3.27×1012) / (1.846×109) ≈ 1.77×103 m = 1.77 km
- 4000해 개의 별은 제주도 면적에 높이 1.77 km 만큼 쌓은 모래 즉, 한라산보다 약간 낮은 높이의 양과 비슷
- 물분자(H₂O)
- 1몰(mol) ≈ 6.022 × 1023개의 분자(아보가드로 수)
- 별 개수의 물 분자 = (4 × 1023) / (6.022 × 1023) ≈ 0.664 mol
- 1몰의 물 ≈ 18mL
- 0.664 mol의 물 = 0.664 mol × 18 mL/mol = 11.95 mL ≈ 12 mL
- 4000해 개의 별은 12mL의 물 즉, 밥숟가락 2스푼의 물 양과 비슷
# 그거 알아요?
우주에 4천해 개의 별이 있다는거 알아요?
만약 별 하나를 해변의 고운 모래알 하나로 바꿔 생각해본다면,
그 모래로 제주도 전역을 덮고도 한라산 높이만큼 쌓을 수 있어요.
또, 별 하나를 물 분자 하나로 바꿔 생각해본다면,
그 수는 밥숟가락 두 스푼 분량의 물에 들어 있는 분자 수와 같아요.
우주는 너무도 넓어서 끝이 보이지 않지만,
그 반대편에는 상상조차 어려운 작디작은 세계, 양자의 세계가 있어요.
우주의 거시세계와 극미한 미시세계는,
어쩌면 숟가락 안에 담긴 우주일지도 몰라요.
'천문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천문현상] 한국에서의 일식 월식 (0) | 2025.04.30 |
---|---|
[그거 알아요?] 어두운 별을 보는 방법 (0) | 2025.04.21 |